본문 바로가기
공부하는 오피디

꼭 알아야 하는 당뇨합병증

by 오피디 2023. 1. 20.
300x250

우리가 모르고 있었던 그러나 꼭 알아야 하는 당뇨병의 진실 무엇이 있나 지금부터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1. 잠재 당뇨병, 주 1회는 공복 혈당, 식후 혈당 꼭 챙겨라.

잠재 당뇨병! 지금은 정상이지만, 이런 사람도 안심할 수 없습니다. 당뇨병은 아닌데 혈당이 정상 수치보다 높다 ( 100~125). 체중이 많이 나가거나 복부 비만이 있다. 가족 중에 당뇨병 환자가 있다. 나이가 40대 이상이다. 임신 중에 당뇨병에 걸린 경험이 있다. 고혈압, 고지혈증이 있거나 심혈관질환을 앓고 있다

 

 

2. 식후혈당이 높다면, 독한 식사요법과 하체 근력 운동을 꼭 하여라. 

식후혈당이 높은것은 보통 탄수화물을 많이 섭취하여 생기는 경우가 있습니다. 또는 인슐린 분비가 충분하지 않아서이기 때문입니다. 식후혈당을 낮추기 위해서는 식사 후 운동을 통해 섭취한 칼로리를 소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근력운동뿐만 아니라 유산소 운동을 함으로써 올라간 혈당을 잘 소모해서 정상 혈당을 유지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3. 공복혈당이 높다면, 숙면해야 합병증을 예방 할 수 있다. 

잠을 잘 자야 한다. 밤새 굶었는데 왜 혈당이 높냐구요? 우리가 재는 것은 혈당이지만, 영양소는 지방질도 있고 아미노산도 있고 그러한데 이런 것들은 측정이 되지 않습니다. 이렇듯 나머지 영양소들이 핏속에 남아 있아  있는데 이것들이 우리가 자는 동안 간에 가서 포도당으로 전환됩니다. 그리고 숙면을 잘 취하지 못하면 스트레스 호르몬이 올라가 공복당 이 높아집니다. 그래서 잘 자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4. 당화혈색소 1%만 줄여도 당뇨합병증 위험 20% 낮아진다. 

평균혈당을 알려주는 당화혈색소가 그만큼 중요합니다. 우리몸의 혈당은 24시간 변화하고 있습니다. 당화혈색소는 적혈구에 있는 혈색소라는 단백질에 당이 얼마나 붙어 있는를 보는데,  적혈구의 수명이 4개월 정도 되기 때문에 지난 2~3개월의 평균치를 보고 관리를 하게 됩니다. 실제로 당화혈색소로 3개월간의 당 평균치를 알 수 있으며 평소 꾸준히 잘 관리해야 당화혈색소 수치가 잘 나옵니다. 

 

 

5. 저혈당 예방 생활 수칙

저혈당이 올때 그것을 예방하기 위해 준비 대책이 필요합니다. 항상 단음식을 들고 다니고 저혈당 증상이 왔을 때 빨리 이것을 섭취할 수 있게 해야 합니다. 그리고 규칙적인 식사, 운동, 약물 요법 지키기, 혈당을 매일 측정하고 기록하기 ,잠들기 전 혈당이 100 이하일 경우 간식을 조금 섭취하는 것이 좋다. 저혈당 반복될때 주치의와 함께 당뇨치료제 점검할 필요가 있습니다. 

 

 

6. 피하거나 줄여야 하는 음식

탄수화물이 많은 음식들은 모두 조심하여야 합니다. 예를 들면 국수, 라면, 빵, 떡 이런 칼로리가 응축돼있는 음식이다. 이는 별로 먹은 것 같지 않고 포만감도 많지 않은데 혈당은 굉장히 올라갑니다. 특히 실후혈당이 높으면, 탄수화물이 많은 음식을 먹었구나 하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반대로 공복혈당이 높은 것은 주로 육식을 많이 먹어서 그렇습니다. 그래서 본인의 혈당이 언제 올라가는가를 봐서 섭취하는 영양소 배분을 하시면 되겠습니다. 

 

728x90
300x250

댓글